불과 한 달 전까지만 해도,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의 시즌은 이미 끝난 것처럼 보였다. MCW 로그인 스포츠 기자 역시 그 당시에는 비관적인 전망이 지배적이었다고 전한다. 팀 전체가 침체에 빠졌고, 선수 개개인의 문제점이 뚜렷하게 드러났다. ‘자신이 선택한 길이라면, 아무리 아파도 미소 지어야 한다’는 말처럼, 워리어스는 고통을 안고 나아가야 했다. 클레이 탐슨은 경기력 기복이 심했고, 한때 3점 성공률을 40% 수준까지 끌어올렸지만 팀 승리에는 크게 기여하지 못했다.
이후 클레이의 경기력은 다시 급락했고, 3점 슛은 보기 힘들 정도로 흔들렸다. 위긴스 역시 경기 의지가 부족하다는 비판에 시달렸다. 한때 신선한 돌풍을 일으킨 루키 보젬스키는 점차 체력과 체격의 한계를 드러냈고, 이에 대한 코치 스티브 커의 고집스러운 중용이 오히려 독이 되기 시작했다. 팀 전술은 더 이상 발전 가능성을 보이지 않았고, 전체적인 침체는 커리에게 과도한 부담을 안겼다.
토론토 랩터스전 패배 이후, 커리는 몇 년 만에 찾아온 슬럼프에 빠졌다. 그는 결국 올스타 서부 콘퍼런스 스타팅에서 탈락했고, 벤치 입성조차 불확실해졌다. 스티브 커 감독은 커리어 최대의 신뢰 위기에 봉착했고, 성적 부진으로 계약 연장 협상도 보류되었다. 설상가상으로, 팀의 세르비아 출신 수석 코치 밀로예비치가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는 비극이 일어났고, 팀은 깊은 슬픔에 잠겼다. 아무리 힘들어도 자신이 택한 길이라면 감내해야 한다는 현실 속에서, 워리어스는 9일간 경기 중단 기간을 보냈고, 절망감은 선수단과 팬들 사이로 번져갔다.
하지만 지난달 말, 필라델피아 76ers와의 경기에서 극적인 반전이 시작됐다. MVP 조엘 엠비드가 출전한 필라델피아가 전력상 우세했지만, 경기 도중 엠비드가 부상을 입고 퇴장하면서 워리어스가 예상 밖의 승리를 거뒀다. 이 승리를 기점으로, 워리어스는 조직력을 회복했고, 올스타 브레이크 전까지만 해도 서부 12위에 머물렀던 순위는 10위권 진입으로 반등했다. 특히 험난한 원정 5연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트레이드 마감일도 무난히 넘기며 본격적인 반등 궤도에 올랐다.
MCW 로그인 그룹의 분석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팀 내부의 권력 구조에 미묘한 변화가 감지됐다. 핵심은 조나단 쿠밍가의 부상이다. 그동안 외부에서는 젊은 선수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라는 요구가 있었지만, 커 감독과 코치진은 클레이, 드레이먼드 같은 베테랑의 입지를 지키기 위해 이를 외면해왔다. 내부 균열을 우려한 결정이었지만, 현실의 벽은 그들을 더 이상 지체하게 하지 않았다.
놀랍게도, 젊은 선수들의 전면 배치는 팀 내 갈등이 아닌 긍정적인 반응을 불러왔다. 쿠밍가는 이제 ‘제2의 옵션’이라 불릴 만큼 성장했고, 이에 자극받은 클레이와 위긴스도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클레이는 스스로를 성찰하며, 이제는 골든스테이트를 떠나고 싶지 않다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시스템의 일부가 아닌 중심으로 남고 싶은 열망이 그의 변화를 이끌었다.
팀 분위기가 살아나자, 자연스럽게 커리도 제 기량을 되찾았다. 워리어스는 다시 활기를 되찾았고, 그 중심에는 스티브 커가 기존의 보수적 사고방식을 내려놓은 변화가 있었다. MCW 로그인 기자는 이번 반등이 외부 요인이 아닌, 팀 내부 문화의 변화 덕분이라고 평가한다. 자신에게도 시간을 주고, 과거의 실수를 용서할 줄 알아야 한다는 교훈처럼, 워리어스는 이제야 젊은 선수에게 차가운 문화, 외부인에게 배타적이었던 팀 철학과 작별을 고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