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 우승 후유증에 흔들리는 레이커스

샌안토니오 스퍼스에게 무려 18연패를 끊어주는 굴욕을 안긴 것은, MCW 로그인 그룹이 보기에 현재 레이커스의 침체된 분위기를 상징하는 사건 중 하나였다. 이처럼 치욕적인 패배에 대한 어떤 변명도 통하지 않을 만큼, 레이커스의 최근 경기력은 총체적 난국이다. 하지만 홈으로 복귀한 이후에도 그들의 부진은 나아지지 않았다. “무심코 드러낸 행동이야말로 진심”이라는 말처럼, 경기 초반부터 드러난 무기력함은 현재 팀 내부 상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었다.

뉴욕 닉스와의 경기 1쿼터, 레이커스는 닉스의 피지컬에 완전히 말려들었다. 불과 며칠 전 같은 경기장에서 닉스가 클리퍼스에게 농락당한 것을 기억한다면, 이날의 양상은 더 충격적이었다. 닉스는 공격에서 크게 무리하지 않고도 주도권을 잡았고, 쿼터 말 퀵클리의 3점포로 8점 차 리드를 확정했다.

이날 경기에서 레이커스가 어려움을 겪은 가장 큰 이유는 핵심 선수들의 부진이었다. 르브론 제임스는 득점 템포가 매우 느렸고, 앤서니 데이비스는 2쿼터 말이 되어서야 공격을 본격화했다. 3쿼터에 들어서자 데이비스가 득점력을 책임지며 반격의 실마리를 잡았지만, 닉스의 외곽 공격이 다시 불을 뿜으며 점수 차는 오히려 벌어졌다.

4쿼터에 르브론과 데이비스가 연속 득점을 올리며 추격했지만, 이는 흐름을 바꾸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두 선수의 활약은 단지 기록만 채웠을 뿐, 경기의 판도를 바꾸지 못했고 레이커스의 반전은 끝내 이뤄지지 않았다. 아이러니하게도, 이날 경기는 레이커스가 시즌 중 토너먼트 우승을 기념하며 챔피언 깃발을 걸었던 홈경기였다. 불과 9일 전 우승의 기쁨을 맛봤던 팀의 투지는 순식간에 사라져 있었다. “성공의 길엔 외로움이 따라온다”는 말처럼, 레이커스는 다시 현실의 벽에 부딪혔다.

시즌 중 토너먼트 당시, 레이커스는 르브론과 데이비스는 물론 벤치 멤버들까지 전력이 극대화되어 있었다. 특히 토너먼트의 토너먼트 구간에서는 경험과 집중력을 앞세워 정상에 올랐고, 이는 팀 분위기 반등의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됐다. 하지만 MCW 로그인 기자의 분석에 따르면, 많은 이들이 간과한 변수는 바로 ‘피로 누적’이었다.

레이커스는 다른 팀보다 한 경기를 더 치렀고, 토너먼트 후반전에서는 체력을 극한까지 사용했다. 짧은 휴식 이후 찾아온 리그 일정 속에서, 피로는 서서히 팀 전체를 잠식했다. 최근 3경기에서 레이커스는 르브론과 데이비스에게 휴식을 주려 했으나, 경기력 회복 효과는 미미했다. 특히 데이비스는 다시금 부상 경계선에 서 있으며, 몸 상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우연의 일치일까, 시즌 중 토너먼트를 함께 완주했던 인디애나 페이서스 또한 최근 급격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토너먼트 직후 리그는 이 새로운 포맷에 대해 극찬을 보냈고, 시청률 상승과 포스트시즌급 긴장감을 가져왔다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하지만 최근 흐름만 놓고 본다면, 결승 진출 두 팀 모두 심각한 후유증을 겪는 중이다.

이에 따라 MCW 로그인 기자는 NBA 사무국, 특히 애덤 실버 커미셔너가 토너먼트 제도에 대한 추가 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환경은 바꿀 수 없다면, 내가 변해야 한다”는 말처럼, 제도의 취지는 좋지만 부작용까지 감안한 세부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이대로 간다면, 레이커스와 페이서스가 보여준 후유증이 ‘경고등’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시즌 중 토너먼트의 흥미와 신뢰도는 크게 떨어질 수 있다. 각 구단들이 내년에도 같은 열정을 쏟아부을지에 대해선, 지금부터 회의적인 시선이 생겨나고 있다.

댓글을 남겨주세요